본문 바로가기
한입 정보

되다/돼다, 안/않 헷갈리는 한국어 표현 완벽 정리 😊

by bites 2025. 4. 27.

안녕하세요! 😊

한국어를 사용하다 보면 자주 헷갈리는 표현들이 생기곤 합니다.
‘되다/돼다’, ‘안/않’처럼 자주 틀리기 쉬운 표현들은 특히 익숙하게 사용하지만,
올바른 형태로 쓰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죠.

오늘은 이러한 한국어 표현들을 정리해서 확실히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.
아래 내용을 참고하셔서 더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한국어를 함께 실천해 보세요! 😄


1. 되다/돼다

  • 잘못된 표현: "안돼다(X)", "되었다(X)"
  • 올바른 표현: "안 돼(O)", "되었다(O)"

설명:

‘되’ 뒤에 어미 ‘어’가 결합한 ‘되어’가 줄어든 형태가 ‘돼’입니다.
문장에 ‘돼’를 넣어 자연스러우면 올바른 표현입니다.

예시:

  • "문제가 돼요(O)"
  • "문제가 되요(X)"

2. 안/않

  • 잘못된 표현: "안된다(X)", "않될 것이다(X)"
  • 올바른 표현: "안 된다(O)", "않을 것이다(O)"

설명:

  • ‘안’: 부정을 나타내며, ‘아니’의 준말입니다.
  • ‘않’: ‘아니하다’의 줄임말로, 동사와 함께 사용됩니다.

💡 Tip:
‘아니’로 바꿔 자연스럽게 들리면 ‘안’,
‘아니하다’로 바꿨을 때 적합하면 ‘않’을 사용합니다.

예시:

  • "오늘은 안 간다(O)" (→ 아니 간다)
  • "가기 않을 것이다(O)" (→ 아니하다를 줄임)

3. 웬/왠

  • 잘못된 표현: "왠 일이야(X)", "웬지 이상해(X)"
  • 올바른 표현: "웬 일이야(O)", "왠지 이상해(O)"

설명:

  • ‘웬’: "어찌 된, 어떠한"의 의미를 가집니다.
  • ‘왠’: "왜인지"의 준말로, 앞뒤 문맥에서 자연스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.

예시:

  • "웬 기분 좋은 일이야?(O)"
  • "왠지 오늘은 재밌을 것 같아.(O)"

4. 며칠/몇일

  • 잘못된 표현: "몇일 동안(X)"
  • 올바른 표현: "며칠 동안(O)"

설명:

‘며칠’은 표준어로, 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습니다.
‘몇일’은 잘못된 표현입니다.

예시:

  • "며칠 동안 비가 내렸어요.(O)"

5. 어떻게/어떡해

  • 잘못된 표현: "어떻해 할 거야?(X)"
  • 올바른 표현: "어떡해 할 거야?(O)"

설명:

  • ‘어떻게’: "방법을 묻는 질문".
  • ‘어떡해’: "어떻게 해"의 줄임말입니다.

예시:

  • "이 일을 어떻게 해결할 거야?(O)"
  • "그걸 어떡해 해야 할까?(O)"

6. 들러/들려

  • 잘못된 표현: "친구 집에 들려서 가자(X)"
  • 올바른 표현: "친구 집에 들러서 가자(O)"

설명:

  • ‘들러’: 잠시 방문한다는 뜻입니다.
  • ‘들려’: 소리가 전해진다는 뜻입니다.

예시:

  • "친구 집에 들러 선물을 줬다.(O)"
  • "새소리가 아름답게 들린다.(O)"

7. 로서/로써

  • 잘못된 표현: "의사로써 책임을 다한다(X)"
  • 올바른 표현: "의사로서 책임을 다한다(O)"

설명:

  • ‘로서’: 자격이나 신분을 의미합니다.
  • ‘로써’: 도구나 수단을 나타냅니다.

예시:

  • "선생님으로서 역할을 하다.(O)"
  • "칼로써 고기를 자르다.(O)"

8. 개수/갯수

  • 잘못된 표현: "갯수(X)"
  • 올바른 표현: "개수(O)"

설명:

‘개수’는 한자어이므로 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습니다.

예시:

  • "책의 개수를 확인해 주세요.(O)"

9. 설레이다/설레다

  • 잘못된 표현: "마음이 설레인다(X)"
  • 올바른 표현: "마음이 설레다(O)"

설명:

‘설레이다’는 잘못된 표현이며, 표준어는 ‘설레다’입니다.

예시:

  • "여행을 앞두고 마음이 설레다.(O)"

10. 좋은 하루 되세요/보내세요

  • 잘못된 표현: "좋은 하루 되세요(X)"
  • 올바른 표현: "좋은 하루 보내세요(O)"

설명:

사람은 하루나 상태가 ‘되는 것’이 아니므로, ‘보내세요’가 적합합니다.

예시:

  • "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.(O)"

💡 헷갈리지 않으려면? 한국어 팁 3가지

  1. 문맥을 확인하세요.
    •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연스러운지를 판단합니다.
  2. 대체 단어를 넣어 보세요.
    • ‘안/않’, ‘되다/돼다’ 등 헷갈리는 표현은 대체어를 넣어 문장의 자연스러움을 체크합니다.
  3. 국립국어원 활용하기.

마무리: 바른 말이 만드는 부드러운 소통 😊

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한국어는 친숙하지만, 간혹 무심코 잘못된 표현을 쓸 수 있습니다.
바르고 올바른 표현을 익히면 상대에게 더 친절하고 정확하게 의사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.

위 내용을 참고하셔서 헷갈리기 쉬운 표현들의 사용법을 익히고,
더욱 풍부하고 정확한 한국어를 즐겨보세요!

혹시 자주 헷갈리는 표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. 함께 이야기를 나눠 보아요! 😊